반응형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클라우드 아키텍처까지 설계를 해야하는 케이스가 있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설계를 하기 위해 다른 회사 분과 협업을 하는데 AWS 아키텍처 분과 네트워크 관련 이야기를 하려고 하니,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느끼고 네트워크 공부를 하는 도중 SNS에서 네트워크 관련 책 개발자 리뷰어를 모집한다는 글을 봤고 길벗 출판사의 모두의 네트워크 기초라는 책을 선택하여 신청을 하게 되었다.

 

해당 책은 길벗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을 받아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https://www.gilbut.co.kr/book/view?bookcode=BN002021

 

모두의 네트워크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Network) 기초

www.gilbut.co.kr


 

맨 처음 IT 공부를 할 때 모두의 시리즈 책을 가지고 많이 공부를 하곤 했고, 이번에는 네트워크 기초다. 그 전에도 딥러닝 공부를 할 때 모두의 딥러닝 책을 구매해서 봤으니 말이다.

 

목차

책을 볼 때 가장 먼저 보는 부분이 목차 부분이다.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성격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을 먼저 보고, 그 다음에 연관되어 필요한 부분을 읽는 방법이 내가 공부하는 스타일이기에 목차를 제일 먼저 보고 읽을 페이지를 정한다.

1장 네트워크 첫걸음
LESSON 00 네트워크 입문 강의 개강!
LESSON 01 네트워크의 구조
LESSON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LESSON 03 랜과 왠
LESSON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LESSON 0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복습하기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LESSON 06 네트워크의 규칙
LESSON 07 OSI 모델과 TCP/IP 모델
LESSON 08 캡슐화와 역캡슐화 .
복습하기

3장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LESSON 0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LESSON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LESSON 11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복습하기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1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LESSON 13 MAC 주소의 구조
LESSON 14 스위치의 구조
LESSON 15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LESSON 16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복습하기

5장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LESSON 17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LESSON 18 IP 주소의 구조
LESSON 19 IP 주소의 클래스 구조
LESSON 20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LESSON 21 서브넷의 구조
LESSON 22 라우터의 구조
복습하기

6장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3 전송 계층의 역할
LESSON 24 TCP의 구조
LESSON 25 일련번호와 확인 응답 번호의 구조
LESSON 26 포트 번호의 구조
LESSON 27 UDP의 구조
복습하기

7장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응용 계층의 역할
LESSON 29 웹 서버의 구조(웹 사이트 접속)
LESSON 30 DNS 서버의 구조(이름 해석)
LESSON 31 메일 서버의 구조(SMTP와 POP3)
복습하기

8장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LESSON 32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LESSON 33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LESSON 34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복습하기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LESSON 35 무선 랜의 구조
LESSON 36 SSID의 구조
복습하기

 

 

내용

 

 

이번에 AWS 아키텍처 구성과 네트워크 구성을 할 때 조금 개념을 못잡은 부분이 바로 서브넷팅이다. 그래서, 5장에 있는 서브넷마스크 부분부터 보기 시작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해주고 있다.

 

 

 

그리고 나서, 서브넷팅 예제도 보여주면서 직접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개념과 예제를 보고 나서 뒤로 넘기면 각 장마다 끝이 나면 연습문제를 통해 해당 빈칸의 개념을 다시 상기시킬 수 있고, 해당 장에서 사용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용어들을 요약하고 모아 용어정리를 해준다.


개인마다 학습을 하는 방법이 다르겠지만, 나는 책으로 어느 정도 개념을 잡은 다음에, 더 깊이 알기 위해 구글링을 통해 학습을 한다. 이 방법이 나에게 최적화된 방법이었고, 대부분 책으로 개념을 잡기 위해 쉬운 책을 고른다. 처음부터 어려운 책을 고르고 시작한다면 수학의 정석처럼 1장 집합만 30번 보고 그 뒤의 미적분은 시작도 못하는 경우가 정말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 모두의 시리즈를 가지고 시작을 많이 했었고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책을 제공받고 프로젝트에 필요했던 개념을 챙겨갈 수 있었다.

 

해당 책은 YES24, 교보 문고, 알라딘 등을 통해 구매를 할 수 있으니 관심이 있는 분들은 구매해서 보셔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래의 해당 링크를 들어가면, 모두의 네트워크 기초 책의 1장부터 3장까지는 공개가 되어 있으므로, 이 내용을 보고 필요하다면 구매해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https://thebook.io/080380/

 

모두의 네트워크 기초

더북(TheBook): (주)도서출판 길벗에서 제공하는 IT 도서 열람 서비스입니다.

thebook.io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