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구도 둥글지만 우리집 가을이도 둥글다

 

2025년 1월 회고도 밀렸고, 2월 회고도 밀렸다. 1월과 2월에는 팀 이동을 하여 업무도 많이 몰렸던 시기였고, 이번에 새로운 솔루션 개발을 하던 터라 많은 공부도 필요했고, 집에서 다른 관심사도 생겨서 블로그 작성에는 조금은 소홀했다. 그래도, 1월부터 3월까지는 꽤나 업무적으로 많이 바빠서 할 이야기는 많겠다. 이왕 쓰는거 1월부터 3월까지 2025년 1분기에 대한 회고를 작성한다.


평택 출장을 다녀 왔다. (1월)

에이피알 프로젝트의 고도화 건으로 평택 출장을 다녀 왔다. 에이피알 고도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물류 센터에 어떤 설비가 있고,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개발을 할 때 해당 환경을 고려해서 고도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평택으로 물류 센터 방문을 했다.

 

에이피알 물류 센터 방문기는 아래에 정리를 해놨고, 언제나 물류 센터에 방문하는 것은 새로웠다.

물론, 딱 1번만. 맨날 가면 재미 없다.

 

물류 개발자의 에이피알 물류 센터 방문기

 

48화. 물류개발자의 에이피알(APR) 물류 센터 방문기

다시 시작되는 물류개발자 일지 시리즈다.47화까지 작성을 하다가 무슨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연재를 그만뒀다.근데, 다시 물류 개발자가 됨에 따라 연재를 시작하려고 한다. 팀을 이동했는

yongku.tistory.com

 

이번 출장에 대한 주요했던 내용은 아래와 같았다.

 

  • 물류센터에 자동화 로봇이 도입된 케이스 관람
  • DAS 및 DPS 다른 제품 설비 구경
  • 센터 직원 분들의 WMS 사용 방법 구경

 

물류 센터에서 자동화 로봇이 도입된 케이스는 이번이 처음이다. AGV나 무인지게차는 봤지만, 팔이 달린 로봇이 작업하는 것은 처음 봤다. 물론, 그 전 적재 로봇 프로젝트에서 암이 달린 로봇은 겁나 많이 봤지만 언제나 재밌었다.


평택 출장을 다녀 왔다. (2월)

에이피알 프로젝트의 고도화 건으로 2월에평택 상주 출장을 다녀 왔다. 기존에 고도화 프로젝트 때 개발되었던 것들이 문제 없이 돌아가는지에 대한 대응을 하기 위해 출장을 다녀 왔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총 6일 간의 평택 출장을 갔는데 따로 숙박은 잡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서 수서역으로 가 SRT를 타고 평택 지제역에 내려서 택시를 타고 갔었다.

 

이번 평택 출장에서는 그렇게 큰 이슈는 없었다.

  • WMS 입고부터 출고까지 사용자 교육(슈퍼 유저)
  • 설비 이전에 따른 인터페이스 결과 대응
  • 이슈 발생 시 문제 해결
  • 택배 인터페이스(한진, CJ 대한통운) 모니터링
  • 출력물 문제 이슈 해결(제일 중요)

위의 업무들은 WMS 개발자의 계속 굴러가는 굴레이지 않을까 싶다. WMS 시스템의 로직도 중요하지만, 결국에는 인터페이스가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WMS에서 재고가 맞지 않더라도 결국엔 상단 ERP의 SAP에서 최종 재고는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물류센터 내에서 출력물과 관련된 업무가 시스템의 꽃이지 않을까 싶다. 페이퍼리스로 작업을 한다면 이 경우에는 상관이 없지만, 거의 대부분은 페이퍼리스로 작업하지 않고 출력물을 뽑아서 박스 패킹을 할 때 동봉을 하기도 하니 말이다.

 

이번 출력물 문제 이슈는 1개의 오더에 대해 검수를 완료하면 출력물 3장이 일반 프린터 1장, 라벨 프린터 2대에서 각 1장 씩 동시에 출력이 되었어야 했다. 근데, 설비를 이전하면서 프린터 장비도 같이 이전을 했는데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고, 어떤 케이스에서는 일반 프린터에서 3장이 나올 때도 있고, 2장이 나올 때도 있고 제각각이었다.

 

이 케이스의 문제를 찾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출력물 프로그램에서 출력물에 대한 스크립트 코드를 이상하게 짜놔서 해당 스크립트 부분을 수정하여 완료했고, 정상적으로 설비 및 장비 이전이 끝났다.


소규모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유지보수 (SM) 업무 시작과  인계 (1월 - 2월)

팀 이동을 하고 나서, 가장 먼저 했던 것은 티웨이 WMS의 추가 기능 개발과 유한킴벌리 회사의 WMS 운영 및 유지보수를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티웨이 WMS 추가 기능 개발

티웨이 WMS 추가 기능 개발 건은 그렇게 어려운 건은 아니었다. 수불 관리 화면이 기존에 있었는데, 이 수불 관리를 더 자세하게 상세 내용을 보기 위한 화면 및 로직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우리가 WMS에서 입고를 할 때, 입고에도 PO 입고, STO 입고, 수입 입고 등 정말 다양한 입고 종류가 있다. 그렇기에, 입고를 했으면 어떤 입고가 몇 개 들어 왔는지, 어떤 위치에서 어떤 자재가 몇 개 들어오고 나왔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과 로직 개발이었다. 이 건은 간단하게 완료를 했다.

 

유한킴벌리 WMS 운영/유지보수

예전에도 유한킴벌리 WMS 운영 및 유지보수를 진행했었는데, 이번에도 잠깐 맡게 되었다.

그렇게 많이 개선된 것은 없었지만, 추가 개발 건 및 미진 개발 건들이 좀 있어서 개발을 진행했었지만, 현장과 운영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미스가 있어서 해당 기능은 다시 재개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근데, 그 재개발을 내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인계를 하게 되었다. 기존에, 솔루션 컨버전 업무까지 진행하고 있던 터라 업무 관리가 되질 않았고, 일정 맞추기도 정말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유한킴벌리 운영 및 유지보수는 서브로 참가를 하게 되어 재개발을 하고 있는 다른 팀원 옆에서 개발해야 하는 방향과 궁금한 것들을 계속적으로 서포트를 하고 있다.


솔루션 컨버전 개발

약 10년 전에 사용하던 솔루션이 너무 노후화가 되기도 했고, 보안 취약성과 액티브 X 버전의 한계 때문에 거의 사용을 하지 않다가 이번에 이 솔루션을 WEB 형태로 컨버전을 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말이 컨버전이지, 거의 솔루션을 신규로 만든다라고 보는게 더 맞다고 생각하고 지금도 개발하고 있다.

기존에 Coin 3d로 되어 있는 것을 무료 라이브러리인 three.js로 바꿔서 그리고 있는데, 3d 시각화 및 시뮬레이션은 직접적인 개발은 처음 해보는 거라 재미는 있어 보였다.

(물론, 실질적으로 개발했을 때 펜으로 그려가면서 캘리브레이션을 하느라 아주 진땀을 뺐다.)

 

 

지금까지는 기능을 보고, 해당 기능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두고 개발을 하고 있다.

컨버전을 하려고 했는데, ocx 파일까지 분석을 해야 하는 터라 분석하기엔 시간이 부족하여 대충보고 기능 개발을 해서 완전 비슷한 싱크로율을 가지도록 개발을 하고 있다.

 

해당 솔루션은 WMS 3D 모니터링에 이어 조회 시 다양한 조건들의 조회와 시뮬레이터 등을 만들어 제공한다.

 

개발 환경

- Eclipse 2022-12

- Oracle

- DBeaver

- three.js

- AG Grid

- jdk 1.8

- Tomcat 9.0

- Spring 4.3.25

 

이 솔루션 컨버전의 경우에는 거의 4월까지 하지 않을까 싶다. 4월에는 컨버전된 솔루션을 가지고, 또 출장을 가지 않을까?

해외 프로젝트였으면 하는 바람이 엄청 크다.


2025년 4월 목표

1. 이력서 지속 업데이트

-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간략하게 정리를 하곤 했는데, 계속적으로 이력서를 업데이트를 할 예정이다.

 

2. 운동하기

 

3. 솔루션 컨버전 종료

 

끝.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코집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