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글로벌 인프라 구조의 4가지 요소인 리전(Region), 가용영역(AZ, Availability Zone),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리전 엣지 캐시(Region Edge Cache) 중 이번에는 가용영역(AZ, Availability Zone)에 대해 정리를 한다.

 

AWS AZ 위치

일단, AWS 서울 데이터센터 AZ 위치는 구글링을 한 결과, 오피셜은 아니지만 아래에 되어 있다고 한다. 오피셜은 아니니 참고만 하면 된다.

  • KT 목동 IDC
  • SK 브로드밴드 일산 IDC
  • 롯데정보통신/현대정보기술 용인센터
  • LG 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
  • Digital Realty ICN10 데이터 센터(상암) -> AZ는 아니지만 Direct Connect 지점

 

AWS AZ 특징

앞서, AWS 글로벌 인프라 구조 중 리전(Region)에서는 2개 이상의 가용영역 (AZ, Availability Zone)이 있어야 한다고 했었다.

 

  • 1개의 가용 영역은 1개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 존재(화재 사고 등을 통해 인프라 장애 방지)
  • 1개의 리전(Region)은 2개 이상의 가용 영역 (AZ, Availability Zone) 존재
  • 가용 영역 (AZ, Availability Zone)끼리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
  • 고가용성 설계를 위해 다중 AZ(Multi AZ), 2개 이상의 가용영역에 시스템 구축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계정마다 데이터 센터를 고정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AZ를 분류해서 계정 별로 준다. 우리가 AWS Console에서 EC2 콘솔을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대시보드가 나온다.

 

여기서 서비스 상태 대시보드를 보면 영역 이름으로 서울 리전(ap-northeast-2)에서 a, b, c, d 처럼 가용영역이 나눠진다.

 

즉, 유저 별로 중간에 가용 영역을 두어 데이터 센터로 바로 가지 않도록 해준다는 말이다. 우리가 흔히 네트워크를 봤을 떄, IP로 접근하는 것보다 도메인을 타고 가면 보안이 더 좋다. 이처럼, 계정마다 다이렉트로 데이터 센터를 가지 않고 가용 영역을 두어 보안성과 트래픽 몰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s_az/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using-regions-availability-zones.html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