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사금융용어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은 열을 머금은 옥수수가 터져 팝콘이 되듯이 아주 강렬하고 즉각적인 자극에만 반응하는 뇌 구조의 변형을 일컫는 용어이며 데이비드 레비(David Levy) 미국 워싱턴대학교 교수가 만들었습니다.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은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멀티태스킹과 자극에 익숙해지면서 일상에 흥미를 잃게 되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10분도 안됐는데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한 증세를 가지고 있거나, 짧은 시간에 스마트폰을 다시 사용하곤 합니다. 이렇게 팝콘 브레인이 형성되면서 즉각적인 현상에만 반응할 뿐 다른 사람의 감정 또는 느리고 무던하게 변화하는 현실에는 무감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하는 것보다 스마트폰을 보는 것이 더 좋은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스마트폰의 폐해라고 한 가지의 스토리가 올라온 적이 있습니다. 바로, 손자들이 할머니와 만났는데 이야기를 하기는 커녕 손자들은 스마트폰만 보고 있어 할머니의 슬픈 표정이 올라온 사진을 봤을겁니다. 이와 같이, 팝콘 브레인은 현재 우리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상황에 딱 들어맞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은 인터넷을 장시간 사용한 사람의 뇌를 촬영한 자기공명영상(MRI) 분석결과, 인간의 뇌에서 생각 중추를 담당하는 회백질의 크기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고 합니다. 우리의 인체에서는 베버의 법칙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일정량 이상의 역치를 받았을 때 자극을 하는 것이 우리가 받아들여 감각기에서 반응하는 것이 베버의 법칙입니다.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도 결국엔 베버의 법칙을 따를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일정량의 자극을 받으면서 결국에는 기준이 되는 역치값이 증가하여 일정량에 미달된 자극은 우리가 반응을 할 수 없도록 말입니다. 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더 큰 자극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을 더 할 것이고, 그만큼 현실에서의 대화는 물론, 현실의 감정조차 무감각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하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 세계에서 최고로 뽑는다는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에서도 이 팝콘 브레인(Popcron Brain)을 노려 알고리즘을 짜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의 수익도 결국엔 유튜브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야 수익이 극대화될 수 있기에 우리가 흔히 겪고 있는 '유튜브 알고리즘'이 대표적입니다. 유튜브를 사용하면서 '유튜브 알고리즘'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구독을 하지 않고, 관심없던 영상들이 갑자기 유튜브 리스트에 올라 우리에게 큰 흥미와 관심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관심없는 영상이 올라와서 영상을 보게 되면 댓글에는 '유튜브 알고리즘 열일 한다!', '유튜브 알고리즘 미쳤네!'라는 댓글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튜브 뿐만 아니라 IT 기업들은 고객의 체류시간이 곧 수익이 될 수 있기에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시간을 뺏을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짜고 있습니다. 이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은 결국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것이고, 어린아이들에겐 대화의 단절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장점이 큰 경우도 있으니 개인의 절제와 가족간의 규칙을 만들어 대화의 공간을 만드는 것이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개발 > 시사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007] 시사금융용어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0) | 2020.07.13 |
---|---|
[000006] 시사금융용어 고토 소비 (0) | 2020.07.07 |
[000005] 시사금융용어 홍콩 정책법 (0) | 2020.07.03 |
[000004] 시사금융용어 90% 경제 (0) | 2020.07.02 |
[000002] 시사금융용어 멘탈 헬스케어(Mental Healthcare) (0) | 2020.06.30 |
[000001] 시사금융용어 긱워커(Gig Worker) (0) | 2020.06.29 |
최근댓글